33 0 0 1 7 0 2개월전 0

판사님, OH MY

<판사님, OH MY>는 3년여의 법정 취재로 쓴 유일한 단편소설입니다. 관상 보는 일이 직업인 주인공이 십 수 년 전 재판 받다 아버지가 죽은 법정을 방문합니다. 거기서 만나는 판사‧검사 등의 관상, 이미 판사‧검사가 된 사람들의 관상을 '마꾸라지‧오릭스‧새매‧옴개구리' 등의 동물적 특징과 연결하여 보았습니다. 과연 그들은 관상 대로 살아왔고 살아갈 것인가?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사기사건이 30배 정도 많습니다. 통계에 잡힌 숫자입니다. 그것은 고소‧고발 등을 직접 실행에 옮겼다고 뜻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사기를 당해도 우리보다는 고소‧고발을 덜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30배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특히 우리나라가 사기 사건이 많다는 뜻일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 형사 재판에서..
<판사님, OH MY>는 3년여의 법정 취재로 쓴 유일한 단편소설입니다. 관상 보는 일이 직업인 주인공이 십 수 년 전 재판 받다 아버지가 죽은 법정을 방문합니다. 거기서 만나는 판사‧검사 등의 관상, 이미 판사‧검사가 된 사람들의 관상을 '마꾸라지‧오릭스‧새매‧옴개구리' 등의 동물적 특징과 연결하여 보았습니다. 과연 그들은 관상 대로 살아왔고 살아갈 것인가?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사기사건이 30배 정도 많습니다. 통계에 잡힌 숫자입니다. 그것은 고소‧고발 등을 직접 실행에 옮겼다고 뜻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사기를 당해도 우리보다는 고소‧고발을 덜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30배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특히 우리나라가 사기 사건이 많다는 뜻일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 형사 재판에서 여러 건의 사기 사건을 한꺼번에 묶어 재판하면서 그 중 형량이 제일 높은 범죄, 그것을 기준점 삼아 형량 선고가 되기 때문에 사기 사건이 줄지 않는다고 합니다. 각 사기 사건의 형량을 덧셈 방식으로 판결이 내리지 않는 것도 우리나라의 문제입니다.
미국의 경우만 보더라도 100년 450년 이런 식의 판결이 나오기는 하는데 우리 형법은 그렇지 않습니다. 또한 재판에서 이겨도 사기 피해자들이 그 피해액을 돌려받는 경우도 매우 드뭅니다. 형량 선고 방식과 피해액 보상 관련 내용이 보완된다면 우리나라의 사기 사건은 꽤 줄어들 것입니다.
30년 넘게 소설을 썼습니다. 새로운 주제, 새로운 구성, 새로운 전개 등을 각 소설에 담으려 노력해 왔습니다. 주로 AI 관련 미래, 고령화 사회, 여성 문제 등을 다룹니다.
국립도서관이나 기타 대형 도서관으로 매일 수천권의 종이책이 납본‧기증 된다고 합니다. 앞문으로는 수천권의 새 종이책이 들어가고 뒷문으로도 수천권의 종이책이 빠져 나간다고 합니다. 보관‧소장의 문제이기도 합니다만 그만큼 종이책의 수명이 짧아졌다는 반증입니다. 수많은 나무가 베어지고 수많은 페이지로 구성된 종이책의 운명이 그러할진대 이제 우리는 다른 방식의 출판도 재고할 시기가 된 듯합니다. 결국 전자책도 비트 단위로 사이버공간을 떠도는 쓰레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혹은 무한대의 데이터 용량을 차지하면서, 수많은 전기와 물을 소비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종이책과 전자책의 미래를 단순하게 점치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이번 기회에 전자책 출판에 도전해 봅니다.

<기본사항>
2004년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박사
2005년 중앙대 문학박사

<소설>
1991년 장편 “황금빛 낡은 침대 위의 여자”(오늘출판사)
1995년 단편 “불타(佛陀)는 불타(佛陀)”(서울소나무)
1998년 단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자유문학)
1999년 단편 “책 읽는 남자”(예술세계)
2000년 단편 “작고 사소한 것들과의 이별”(한국소설)
2000년 단편 “추위에 관한 짧은 이야기”(문학예술)
2001년 단편 “몇 장의 모자이크로 남은 남자”(문학예술)
2001년 단편 “몬드리안의 천계”(월간문학)
2002년 단편 “어두운 거리를 걸으며”(월간문학)
2003년 창작집 “에세이 에세이, 니디티”(이소북출판사)
2004년 단편 “게쉬탈트 심리학 그리고 냄새”(한국소설)
2004년 단편 “이구아나 그리고 기억”(서대문문학)
2005년 단편 “생명, 잃어버린 목소리”(소설시대, 9호)
2005년 단편 “겨우 붙잡네, 남은 몸통”(계간 소설가, 겨울호)
2005년 장편 “골드플록, 알 수 없는 사람들”(새미‧국학자료원)
2006년 단편 “눈 오는 밤, 그리고 웃음소리”(문학나무, 봄호)
2007년 단편 “‘아’에 관한 짧은 이야기”(소설시대, 12호)
2008년 단편 “The Life Is Great”(한국소설, 2월호)
2008년 단편 “기억”(계간문예, 겨울호)
2010년 창작집 “선물”(평민사)
2010년 단편 “재판장, 악인의 낯빛을 보다”(문학사계사, 겨울호)
2019년 story “도서관, 사라진 활자들”(서대문문학)
2020년 story “쇼핑호스트 연쇄 살인 사건”(서대문문학)
2022년 단편 “명철, 법정에서 아버지를 만나다”(서대문문학)
2023년 단편 “잃어버린 목소리”(서대문문학)
2024년 단편 “세희씨, 스위스에 가지 못하다”(아르코창작지원)

<논문>
2001년 석사논문 <정보화 시대의 인간관계>
2004년 세미논문 <최인훈의 󰡔구운몽󰡕의 정신분석학적 고찰>(현대소설연구 23호)-학술진흥재단 등재지
2005년 박사논문 <최인훈 소설 연구 -󰡔광장󰡕에서 󰡔화두󰡕까지 주체의 욕망을 중심으로->-학술진흥재단 기금 수여 연구 논문
2005년 세미논문 <최인훈의 󰡔회색인󰡕과 󰡔서유기󰡕의 대비 고찰 연구>(한국문학의 연구 27호)-학술진흥재단 등재지
2006년 세미논문 <장용학 󰡔요한시집󰡕의 정신분석적 고찰>(라깡과 현대정신분석 Vol.I No.2 Winter 2006호)-학술진흥재단 등재 후보지
2006년 자유논문 <행위(行爲)없는 눈물 혹은 죽음의 헌사(獻辭)들>(소설시대 제11호)
2012년 세미논문 <은희경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 연구>(한국 문예비평연구 제37집)-한국연구재단 등재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지원 사업 연구 논문

<심사>
2016년 한국출판문화진흥원, 세종도서 문학나눔 도서 심사
2019년 한국출판문화진흥원, 세종도서 문학나눔 도서 심사
2020년 한국출판문화진흥원, 세종도서 문학나눔 도서 심사
2021년 한국출판문화진흥원, 우수 출판 컨텐츠 원고 심사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